카림 바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림 바게리는 이란의 전 축구 선수이자 코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그는 트랙터, 케샤바르즈, 페르세폴리스 등 클럽에서 뛰었으며,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알 나스르, 찰턴 애슬레틱, 알 사드 등 해외 클럽에서도 활동했다. 이란 국가대표팀으로 87경기에서 50골을 기록했으며, 1998년 FIFA 월드컵, 1996년 AFC 아시안컵, 1998년 아시안 게임 등 주요 대회에 참가했다. 은퇴 후에는 페르세폴리스의 코치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에 거주한 이란인 - 사만 고도스
사만 고도스는 이란의 축구 선수로, 이티하드 칼바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나 스트라이커로 뛰며 스웨덴과 이란 국가대표팀에서 모두 활약한 이력을 가진 이중국적자이다. - 잉글랜드에 거주한 이란인 - 아슈칸 데자가
아슈칸 데자가는 이란 태생 독일 성장 축구 선수로, 윙어와 공격형 미드필더를 소화하며 독일 청소년 대표팀을 거쳐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 FIFA 월드컵과 AFC 아시안컵에 참가했다. - 타브리즈 출신 - 자바드 타바타바이
자바드 타바타바이는 이란 정치 사상의 쇠퇴 원인에 대한 논쟁적인 이론을 제시하며 이란의 근대성 및 민주주의 논쟁에 영향을 미친 이란의 정치 철학자이자 역사학자이다. - 타브리즈 출신 - 나시르 앗딘 샤
나시르 앗딘 샤는 카자르 왕조의 4대 샤로서 이란을 통치하며 개혁 정책 추진, 서구 문물 도입 노력, 전신 및 우편 서비스 도입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전제적인 경향 강화, 반식민지화 심화, 사회적 혼란 속에 암살당했다. - 트락토르 SC의 축구 선수 - 알리 카리미
알리 카리미는 "아시아의 마라도나"라는 별칭으로 불린 이란의 은퇴한 공격형 미드필더 축구 선수로, 페르세폴리스 FC, 알아흘리, FC 바이에른 뮌헨 등에서 활약하며 2004년 AFC 아시안컵 득점왕과 아시아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했고 이란 국가대표로도 활약했다. - 트락토르 SC의 축구 선수 - 이언 램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축구 선수 이언 램지는 A리그와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의 여러 클럽에서 활동했으며,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데뷔골을 기록하고 시드니 FC 유소년 리그 올해의 선수상과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FC 신성상을 수상했다.
카림 바게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카림 바게리 |
로마자 표기 | Karim Bagheri |
출생일 | 1974년 2월 20일 |
출생지 | 타브리즈, 이란 |
키 | 185cm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
선수 경력 | |
클럽 | 1992–1994: 트락토르 사지 1994–1996: 케샤바르즈 1996–1997: 페르세폴리스 1997–2000: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2000: → 알나스르 (임대) 2000–2001: 찰턴 애슬레틱 2001–2002: 알사드 2002–2011: 페르세폴리스 |
클럽 출장 (골) | 트락토르 사지: 28 (2) 케샤바르즈: 65 (11) 페르세폴리스: 20 (4)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51 (6) 알나스르 (임대): 8 (4) 찰턴 애슬레틱: 1 (0) 알사드: 11 (5) 페르세폴리스: 178 (29) |
국가대표 | 이란 (1993–2010) |
국가대표 출장 (골) | 87 (50) |
감독 경력 | |
감독 | 2012–2013: 페르세폴리스 (수석 코치) 2015–2023: 페르세폴리스 (수석 코치) 2020–2022: 이란 (수석 코치) 2024–: 페르세폴리스 (수석 코치) 2024–: 페르세폴리스 (감독 대행) |
수상 내역 | |
아시안컵 | 1996 아랍에미리트 동메달 |
아시안 게임 | 1998 방콕 금메달 |
기타 | |
![]() | |
![]() | |
![]() |
2. 클럽 경력
1996년 AFC 아시안컵에서의 활약은 유럽 클럽들의 관심을 끄는 계기가 되었고, 1997-98 시즌에 대표팀 동료 알리 다에이와 함께 독일 분데스리가의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로 이적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했다.
독일에서 활동한 후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찰턴 애슬레틱으로 이적했으나 짧은 기간 활동하는 데 그쳤다. 이후 잠시 아랍에미리트의 알 나스르 SC(임대)와 카타르의 알 사드 SC를 거쳐, 2002년 이란의 페르세폴리스로 복귀했다.
페르세폴리스 복귀 후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다가 2010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기간 | 클럽 | 국가 |
---|---|---|
1992–1994 | 트랙터 | 이란 |
1994–1996 | 케샤바르즈 | 이란 |
1996–1997 | 페르세폴리스 | 이란 |
1997–2000 |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 독일 |
→ 2000 | 알 나스르 SC (임대) | 아랍에미리트 |
2000–2001 | 찰턴 애슬레틱 | 잉글랜드 |
2001–2002 | 알 사드 SC | 카타르 |
2002–2010 | 페르세폴리스 | 이란 |
2. 1. 초기 경력
이란 타브리즈에서 태어났다. 바실레 고자 감독에게 발탁되어 1992년부터 고향 클럽인 트랙터 S.C.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1994년에는 케샤바르즈 F.C.로 이적하여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1993년 6월 6일,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이란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높은 득점력을 갖춘 수비형 미드필더로 성장하며 대표팀의 주축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1996년 8월 1일, 자유 계약으로 수도의 명문 클럽인 페르세폴리스 F.C.에 입단했다. 페르세폴리스 소속으로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하며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고,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같은 해 1996년 AFC 아시안컵에서의 활약은 유럽 클럽들의 관심을 끄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총 19골을 기록하는 놀라운 득점력을 선보였다. 비록 일본과의 최종 예선 3차전에는 경고 누적으로 출전하지 못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와의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는 팀이 0-2로 뒤지던 상황에서 추격골을 넣어 2-2 무승부를 이끌었다. 이 골은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이란이 극적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 경기는 멜버른의 비극으로 회자된다.
월드컵 예선에서의 활약 등에 힘입어 페르세폴리스 입단 1년 만인 1997년 8월 1일, 대표팀 동료 알리 다에이와 함께 독일 분데스리가의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로 이적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했다. 빌레펠트는 다음 시즌 2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 바게리는 팀에 남아 리베로 포지션을 소화하는 등 다재다능함을 보여주며 플레이의 폭을 넓혔다.
2. 2. 페르세폴리스
1996년 8월 1일, 케샤바르즈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 바게리는 자유 계약으로 수도 테헤란의 클럽인 페르세폴리스에 입단했다. 페르세폴리스에서 그는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성공적인 시간을 보냈고 팬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그의 뛰어난 활약은 여러 유럽 클럽의 관심을 끌었으며, 입단 1년 만인 1997년 8월 1일, 동료 이란 대표팀 선수인 알리 다에이와 함께 독일 분데스리가의 빌레펠트로 이적했다.독일, 아랍에미리트(알 나스르 SC, 임대), 잉글랜드(찰튼), 카타르(알 사드 SC) 등 여러 리그를 경험한 후, 2002년 페르세폴리스로 복귀했다. 복귀 후 2010년 은퇴할 때까지 페르세폴리스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으며, 특히 2009-10 시즌에는 리그에서 처음으로 한 시즌 10골(컵 대회 포함 13골)을 기록하는 등 꾸준한 득점력을 보여주었다. 2010년, 페르세폴리스에서 현역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 3. 독일 진출
1996년 AFC 아시안컵에서 이란 대표팀 소속으로 활약한 것이 스카우트의 눈에 띄어, 1997-98 시즌에 동료 알리 다에이와 함께 독일 분데스리가의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로 이적하며 독일 무대에 진출했다.독일에서의 첫 시즌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소속팀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는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었다. 하지만 두 번째 시즌인 1998-99 시즌에는 리베로 포지션의 주전 선수로 자리매김하여 팀의 분데스리가 복귀에 기여했다. 이 시즌의 활약으로 독일의 축구 전문지 키커가 선정한 '올해의 팀'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서 한 시즌을 더 뛴 후, 2000년에 계약을 해지하고 이란의 페르세폴리스로 복귀하려 했으나, 아랍에미리트의 알 나스르로 임대되면서 독일에서의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2. 4. 잉글랜드 진출
독일 분데스리가의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서 활약한 후, 여러 잉글랜드 클럽들이 바게리에게 관심을 보였다. 2000년, 프리미어리그의 찰턴 애슬레틱이 40만파운드의 이적료로 그를 영입했다.[2] 이로써 그는 프리미어리그에서 뛴 최초의 이란인 선수가 되었다.[4]그러나 찰턴에서의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아버지의 별세로 인한 일시 귀국, 국가대표팀 차출, 그리고 반복되는 부상(사타구니, 햄스트링) 때문에 첫 시즌 동안 거의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2][3] 당시 찰턴의 감독이었던 앨런 커비쉴리는 바게리에 대해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부상으로 인한 어려움을 안타까워했다.
커비쉴리 감독은 바게리를 "체격이 좋고 득점 감각이 뛰어난 수비형 미드필더"로 평가하며, 특히 국가대표팀에서의 놀라운 득점 기록을 언급했다. 그는 "바게리가 팀에 있는 동안 꾸준히 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 것이 문제였다"고 지적하며, 이프스위치전 이후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다가 사타구니 부상을 입고 돌아온 것을 시작으로 햄스트링 부상이 반복되었고, 아버지의 장례를 위해 3주간 자리를 비우는 등 악재가 겹쳤다고 설명했다. 커비쉴리는 "그 선수는 실력이 있는데 안타까웠다. 그는 모든 자질을 갖추었고 잉글랜드 축구를 이해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바게리가 선수단 내에서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며, 리저브 경기 12경기에 출전해 6골을 넣는 등 실력을 보여주었지만, 부상 때문에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3]
결국 바게리는 찰턴 소속으로 이프스위치 타운 FC와의 리그 경기에서 단 15분 출전하는 데 그쳤다.[4] 2001년, 그는 찰턴을 떠나 카타르의 알 사드로 이적했다.
2. 5. 페르세폴리스 복귀 및 은퇴

2002년, 바게리는 페르세폴리스로 다시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2006년 9월, 구단의 재정적 약속 미이행과 미지급 임금 문제로 구단 경영진 및 직원들과 갈등을 빚은 후 팀에서 방출되었다고 여겨졌으나, 실제로는 징계를 받았을 뿐 팀에 남았다. 그 이후 바게리는 페르세폴리스의 가장 위대한 아이콘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으며, 그의 인기는 알리 파르빈과 비교되곤 한다.
2007-08 시즌에는 팀을 이끌어 6년 만에 IPL 우승을 차지했다. 2008-09 시즌에는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시즌 말 넬루 빙가다 감독과의 불화로 인해 경기에 결장하기도 했다.
그는 2009-10 시즌 팀의 최다 득점자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선수였다. 시즌 두 번째 수르카비 더비에서 바게리는 87분에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장거리 슛으로 득점하며, 페르세폴리스의 6연속 무승부를 끝내고 승리를 거머쥐었다. 이 시즌에 리그에서 처음으로 시즌 10골을 달성했으며, 컵 대회를 포함하면 총 13골을 기록했다.
2010년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3. 국가대표 경력
바게리는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기간 중 이란 국가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어, 1993년 6월 6일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이란 미드필드의 주전 선수로 자리 잡았다. 그는 '팀 멜리'(تیم ملی|팀 멜리fa, Team Melli) 소속으로 1996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여 이란의 3위 달성에 기여했다.
바게리는 특히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1997년 6월 2일, 몰디브와의 경기에서는 혼자 7골을 넣어 당시 호주의 게리 콜이 가지고 있던 월드컵 예선 한 경기 최다 득점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이 기록은 2001년 4월 11일, 역시 호주 선수인 아치 톰프슨이 아메리칸사모아를 상대로 13골을 넣으면서 깨졌다.[7] 또한 오스트레일리아와의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는 이란이 0-2로 뒤지던 상황에서 추격의 발판을 마련하는 골을 포함해 2골을 넣어 2-2 무승부를 이끌었고, 이 결과 이란은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극적으로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다만, 일본과의 최종 예선 3차전에는 경고 누적으로 출전하지 못했다. 바게리는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총 19골을 기록하며 6개 대륙 연맹을 통틀어 최다 득점자로 이름을 올렸다.[6] 1997년 한 해 동안 이란 대표팀에서 기록한 20골은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IFFHS) 집계 결과, 해당 연도 공식 국제 경기 세계 득점 2위에 해당한다.[8]
이후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참가했으며, 같은 해 열린 199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종목에서는 이란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레바논에서 열린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8강전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강력한 오른발 슛으로 동점골을 기록하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한동안 대표팀과 멀어졌던 바게리는 2008년 11월, 2010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UAE전을 통해 대표팀에 복귀했다. 그는 1993년부터 2010년까지 이란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총 87경기에 출전하여 50득점을 기록했다.
연도 | 대회 | 결과 |
---|---|---|
1996년 | 1996년 AFC 아시안컵 | 3위 |
1998년 | 1998년 FIFA 월드컵 | 조별 리그 |
1998년 | 1998년 아시안 게임 | 우승 |
2000년 | 2000년 AFC 아시안컵 | 8강 |
4. 지도자 경력
은퇴 2년 후, 그는 신임 감독 야히야 골모하마디에 의해 페르세폴리스에서 코칭 역할을 제안받았다. 그는 알리 다이의 코칭 스태프에서 1군 코치로 승진했다.
2015년 4월 8일, 카림은 다시 페르세폴리스의 수석 코치로 임명되었다.[12]
5. 수상 내역
- 아시아 월간 최우수 선수: 1997년 7월[16]
- 아시아 월간 최고 골: 1997년 7월[17]
-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 베스트팀: 2000
- 이란 축구 뉴스 및 이벤트 올해의 미드필더: 2007-08
- 이란 축구 연맹 시상식 올해의 선수: 2007-08
- 마스터카드 아시아/오세아니아 20세기 올스타팀: 1998[18]
- 아시안 올스타: 1997, 2000
5. 1. 클럽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대륙 대회 | 총합 | ||||||||||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트랙터 | 1992-93 | 아자데간 리그 | 0 | 0 | — | ||||||||||
1993-94 | — | ||||||||||||||
총합 | |||||||||||||||
케샤바르즈 FC | 1994-95 | 아자데간 리그 | — | ||||||||||||
1995-96 | — | ||||||||||||||
총합 | |||||||||||||||
페르세폴리스 FC | 1996-97 | 아자데간 리그 | 20 | 4 | 0 | 0 | 4 | 3 | 24 | 7 | |||||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 1997-98 | 분데스리가 | 18 | 3 | 0 | 0 | — | 18 | 3 | ||||||
1998-99 | 2. 분데스리가 | 22 | 2 | 3 | 1 | — | 25 | 3 | |||||||
1999-00 | 분데스리가 | 11 | 1 | 1 | 0 | — | 12 | 1 | |||||||
총합 | 51 | 6 | 4 | 1 | — | 55 | 7 | ||||||||
알나스르 | 1999-00 | UAE 프로리그 | 8 | 4 | 1 | 1 | — | 9 | 5 | ||||||
찰턴 애슬레틱 FC | 2000-01 | 프리미어리그 | 1 | 0 | 0 | 0 | — | 1 | 0 | ||||||
알사드 | 2001-02 | 카타르 스타스 리그 | 11 | 5 | 0 | 0 | 4 | 0 | 15 | 5 | |||||
페르세폴리스 | 2002-03 | 이란 프로리그 | 9 | 0 | 4 | 3 | 3 | 0 | 16 | 3 | |||||
2003-04 | 20 | 3 | 4 | 3 | — | 24 | 6 | ||||||||
2004-05 | 28 | 2 | 1 | 0 | — | 29 | 2 | ||||||||
2005-06 | 23 | 0 | 3 | 0 | — | 26 | 0 | ||||||||
2006-07 | 페르시안 걸프 프로리그 | 13 | 2 | 2 | 0 | — | 15 | 2 | |||||||
2007-08 | 26 | 3 | 2 | 1 | — | 28 | 4 | ||||||||
2008-09 | 29 | 9 | 1 | 0 | 4 | 0 | 34 | 9 | |||||||
2009-10 | 22 | 10 | 5 | 3 | — | 27 | 13 | ||||||||
2010-11 | 8 | 0 | 0 | 0 | 0 | 0 | 8 | 0 | |||||||
총합 | 178 | 29 | 22 | 10 | 7 | 0 | 207 | 39 | |||||||
통산 총합 | 26 | 11 | 15 | 3 |
'''수상 내역'''
: '''우승 (2) : 1996-97, 2007-08'''
: '''우승 (2) : 2009-10, 2010-11'''
:'''우승 (1) : 1998-99'''
:'''우승 (1) : 2001'''
5. 2. 국가대표팀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96년 AFC 아시안컵 3위, 199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했다.국가대표팀 | 년도 | 출전 | 득점 |
---|---|---|---|
이란 | 1993 | 9 | 1 |
1994 | 4 | 0 | |
1995 | 0 | 0 | |
1996 | 17 | 12 | |
1997 | 15 | 20 | |
1998 | 11 | 3 | |
1999 | 0 | 0 | |
2000 | 13 | 9 | |
2001 | 11 | 2 | |
2008 | 2 | 1 | |
2009 | 4 | 2 | |
2010 | 1 | 0 | |
총계 | 87 | 50 |
:''득점과 결과는 이란의 득점을 먼저 표시하며, 득점란은 바게리의 각 득점 후 점수를 나타냅니다.''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 ||||||
---|---|---|---|---|---|---|
1 | 1993년 6월 3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파키스탄 | 3–0 | 5–0 | 1993년 ECO컵 |
2 | 1996년 4월 24일 | 올림픽 스타디움, 아슈하바트,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1–1 | 1–1 | 친선경기 |
3 | 1996년 6월 10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네팔 | 1–0 | 8–0 |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4 | 5–0 | |||||
5 | 1996년 6월 12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스리랑카 | 2–0 | 7–0 |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6 | 1996년 6월 17일 | 술탄 카부스 스포츠 단지, 무스카트, 오만 | 스리랑카 | 1–0 | 4–0 |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7 | 2–0 | |||||
8 | 3–0 | |||||
9 | 1996년 6월 19일 | 술탄 카부스 스포츠 단지, 무스카트, 오만 | 네팔 | 2–0 | 4–0 |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10 | 3–0 | |||||
11 | 1996년 6월 21일 | 술탄 카부스 스포츠 단지, 무스카트, 오만 | 오만 | 2–1 | 2–1 |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12 | 1996년 12월 7일 |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사우디아라비아 | 1–0 | 3–0 | 1996년 AFC 아시안컵 |
13 | 1996년 12월 16일 |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대한민국 | 1–1 | 6–2 | 1996년 AFC 아시안컵 |
14 | 1997년 6월 2일 | 압바시예 스타디움, 다마스쿠스, 시리아 | 몰디브 | 1–0 | 17–0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15 | 2–0 | |||||
16 | 3–0 | |||||
17 | 10–0 | |||||
18 | 12–0 | |||||
19 | 13–0 | |||||
20 | 16–0 | |||||
21 | 1997년 6월 4일 | 압바시예 스타디움, 다마스쿠스, 시리아 | 키르기스스탄 | 1–0 | 7–0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22 | 2–0 | |||||
23 | 1997년 6월 9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키르기스스탄 | 2–1 | 3–1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24 | 1997년 6월 11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몰디브 | 2–0 | 9–0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25 | 5–0 | |||||
26 | 1997년 8월 17일 | 버시티 스타디움, 토론토, 캐나다 | 캐나다 | 1–0 | 1–0 | 친선경기 |
27 | 1997년 9월 13일 | 진저우 스타디움, 다롄, 중국 | 중국 | 1–2 | 4–2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28 | 1997년 9월 19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1–1 | 1–1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29 | 1997년 9월 26일 | 쿠웨이트 국립경기장, 쿠웨이트 시티, 쿠웨이트 | 쿠웨이트 | 1–1 | 1–1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30 | 1997년 10월 3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카타르 | 2–0 | 3–0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31 | 3–0 | |||||
32 | 1997년 10월 17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중국 | 3–0 | 4–1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33 | 1997년 11월 29일 |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1–2 | 2–2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34 | 1998년 12월 10일 | 수파찰라이 스타디움, 방콕, 태국 | 타지키스탄 | 4–0 | 5–0 | 1998년 아시안 게임 |
35 | 1998년 12월 12일 | 수파찰라이 스타디움, 방콕, 태국 | 중국 | 2–1 | 2–1 | 1998년 아시안 게임 |
36 | 1998년 12월 19일 |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 방콕, 태국 | 쿠웨이트 | 1–0 | 2–0 | 1998년 아시안 게임 |
37 | 2000년 6월 9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북마케도니아 | 1–0 | 3–1 | LG컵 |
38 | 2000년 10월 12일 |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베이루트, 레바논 | 레바논 | 1–0 | 4–0 | 2000년 AFC 아시안컵 |
39 | 2000년 10월 23일 | 국제 올림픽 스타디움, 트리폴리, 레바논 | 대한민국 | 1–0 | 1–2 | 2000년 AFC 아시안컵 |
40 | 2000년 11월 24일 | 탁티 스타디움, 타브리즈, 이란 | 괌 | 2–0 | 19–0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41 | 3–0 | |||||
42 | 4–0 | |||||
43 | 5–0 | |||||
44 | 6–0 | |||||
45 | 7–0 | |||||
46 | 2001년 10월 25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아랍에미리트 | 1–0 | 1–0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47 | 2001년 10월 31일 | 알나얀 스타디움,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아랍에미리트 | 2–0 | 3–0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48 | 2008년 11월 19일 |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아랍에미리트 | 1–1 | 1–1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
49 | 2009년 1월 2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중국 | 2–0 | 3–1 | 친선경기 |
50 | 2009년 1월 9일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 싱가포르 | 2–0 | 6–0 |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
:'''우승''' (1) : 1998
5. 3. 개인
참조
[1]
웹사이트
Karim Bagheri - Goals in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
웹사이트
BBC SPORT | CHARLTON ATHLETIC | Addicks land Iran star
http://news.bbc.co.u[...]
[3]
뉴스
Republic must discover way to cope with 'Zidane of Iran'
https://www.telegrap[...]
2001-11-08
[4]
뉴스
Ipswich late show crushes Charlton
http://news.bbc.co.u[...]
BBC
2000-11-11
[5]
웹사이트
پرسپولیس و باقری سه شنبه تصمیم گیری می کنند
http://fc-perspolis.[...]
FC Persepolis
2010-11-28
[6]
뉴스
SOCCER: It's a Draw: Politics Aside, the Pieces Fall in Place; Group Hug? Doubtful When It's U.S.-Ira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97-12-05
[7]
웹사이트
Australia 31 – American Samoa 0
http://www.ozfootbal[...]
Ozfootball
[8]
웹사이트
Top 10 International Goal Scorers – 1997
http://www.iffhs.de/[...]
IFFHS
[9]
웹사이트
کریم باقری برای همیشه از تیم ملی خداحافظی کرد/ باقری: می روم تا جابرای جوانان باز شود
http://www.mehrnews.[...]
Mehr News Agency
2006-07-22
[10]
웹사이트
علي دايي: کريم باقري را به تيم ملي دعوت مي کنم
http://isna.ir/ISNA/[...]
ISNA
2008-08-09
[11]
웹사이트
کاپيتان باقري از تيم ملي خداحافظي كرد
http://www.perspolis[...]
perspolisnews.com
2010-10-07
[12]
웹사이트
Karim Bagheri Named Iran's Persepolis Assistant Coach
http://kayhan.ir/en/[...]
[13]
웹사이트
Karim Bagheri
http://www.fussballd[...]
fussballdaten.de
[14]
웹사이트
Iranian Premier League Stats: 2009–2010 Season
http://www.iplstats.[...]
iplstats.com
[15]
웹사이트
Karim Bagheri - Goals in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16]
웹사이트
Record breakers Dalian take trophy
http://www.asian-foo[...]
1998-05-14
[17]
웹사이트
Kyrgyzstan can't stop Karim
http://www.asian-foo[...]
1998-05-14
[18]
웹사이트
Ramos, Balboa named to MasterCard CONCACAF 20th Century team.
http://www.soccertim[...]
Soccer Times
1998-05-15
[19]
웹사이트
Karim Bagheri - Goals in International Matches
http://www.rsssf.com[...]
The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